Hello, I’m Seojun Park, a designer who specializes in developing creative ideas and leading projects with clear direction and consistent design. I see design as a process of problem-solving and strive to deliver distinctive outcomes through experimental and original approaches. I aim to keep growing as a designer who communicates with the world through a unique visual perspective.
안녕하세요, 디자이너 박서준입니다. 저는 크리에이티브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프로젝트의 방향성을 잡아 일관된 디자인으로 완성하는 데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디자인을 문제 해결의 과정으로 생각하며,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접근을 통해 차별화된 결과를 만드는 것을 지향합니다. 앞으로도 저만의 시각으로 세상과 소통하는 디자이너로 성장해 나가고 싶습니다.
2025
420 × 594mm (A2)
코팅지 인쇄용 디자인 (디지털 프린트용)
그래픽 디자인 / 전시 브랜딩 디자인
2025
자유 확장형 로고 (웹 및 인쇄용 활용)
디지털 디자인브랜딩 디자인 / 로고 디자인
SCARKAT 립스틱 제품 디자인 & 3D 모델링
SCARKAT 브랜드의 확장선으로 제작된 립스틱 디자인입니다. 로고 리디자인의 연장선에서 브랜드의 강렬함과 독창성을 제품에 직접 녹여냈으며, 케이스 전체에 음각된 로고 디테일로 시각적 임팩트를 극대화했습니다. 매트한 블랙 소재와 각진 구조는 고급스럽고 대담한 분위기를 연출하며, 심플하면서도 존재감 있는 디자인으로 SCARKAT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입체적으로 해석했습니다. 제품 촬영은 디지털 환경 속 자연물과 결합해, ‘강인함 속 자연스러움’이라는 콘셉트를 시각화했습니다.
2025
약 25 × 25 × 75mm
매트 블랙 코팅 / 금속 디테일
제품 디자인 / 3D 모델링 & 렌더링
SCARKAT 캠페인 이미지 제작
SCARKAT의 강렬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장하기 위해 제작된 캠페인 이미지 시리즈입니다. Midjourney를 활용해 생성한 이번 프로젝트는 젖은 머리카락, 반짝이는 피부, 그리고 인더스트리얼한 배경 속에서 연출된 모델들의 모습을 통해 브랜드의 ‘강인함과 아름다움의 공존’을 시각화했습니다. 메이크업 디테일에는 글리터, 크리스탈, 상처 효과 등을 활용해 SCARKAT의 메시지인 ‘흉터는 당신을 정의하지 않는다’를 감각적으로 표현했으며, 차갑고 미래적인 무드 속에서도 섬세한 아름다움을 강조했습니다.
2025
디지털 이미지 / 소셜 캠페인용 시리즈
브랜딩 디자인 / 비주얼 아이덴티티 실험
KREAYON 뷰티 셀렉샵 로고 디자인
KREAYON은 뷰티 제품을 큐레이션해 제안하는 셀렉샵 브랜드로, 이름이 길다는 특성을 시각적으로 보완하기 위해 간결하고 임팩트 있는 로고 디자인을 개발했습니다. 타이포그래피의 조형성을 극대화해 긴 단어임에도 단일한 형태로 보이도록 구성했으며, 유연한 곡선과 날카로운 엣지를 결합해 브랜드의 감각적이고 트렌디한 이미지를 담아냈습니다. 로고의 조형적 특징은 제품 패키지, 쇼핑백 등 다양한 응용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직관성과 변용성을 고려해 디자인되었습니다.
2025
로고타입 / 브랜딩 디자인
그래픽 디자인 / 타이포그래피 실험
양홍원 SLOWMO 트랙리스트 아트워크
래퍼 양홍원의 앨범 SLOWMO의 트랙리스트 아트를 디자인했습니다. 음악에서 느껴지는 라틴·남미 특유의 리듬감과 시원한 분위기에서 영감을 받아, 바다와 물결을 연상케 하는 유동적 그래픽을 메인 비주얼로 사용했습니다. 물의 흐름처럼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형태와 블루 그린 계열의 색감을 조합해 청량하면서도 몽환적인 느낌을 강조했으며, 간결한 산세리프 타이포그래피로 음반의 미니멀한 무드를 유지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도회적인 세련미 속에 이국적인 감성을 더해 앨범의 음악적 색채를 시각화했습니다.
2025
디지털 이미지 / 음반 비주얼 아이덴티티
그래픽 디자인 / 타이포그래피 실험
조명 오브제 디자인
50×50cm 크기의 입체 조명 오브제로, 스테인리스 파이프와 약 100미터 길이의 스테인리스 와이어를 사용해 제작했습니다. ‘선과 면의 경계’를 주제로, 선들이 모여 만들어내는 면과 그 안에서의 공간감을 시각적으로 탐구했으며, 금속 재질의 단단함과 와이어의 유연성이 대비되면서도 조화를 이루도록 구성했습니다. 내부 광원은 구조물 속에서 빛을 분산시키며 입체감을 강조하고, 조명의 각도와 시점에 따라 완전히 다른 형태로 인식되도록 설계했습니다. 산업적 재료와 섬세한 직조감이 공존하는 작품으로, 구조적 아름다움과 빛의 상호작용을 실험했습니다.
2025
50 × 50 × 50cm
스테인리스 파이프, 스테인리스 와이어
제품 디자인 / 공간 오브제
사랑과 가장 먼 단어 북커버 리디자인
‘사랑과 가장 먼 단어’의 서적 표지를 리디자인한 프로젝트입니다. 제목이 주는 심리적·물리적 거리감을 시각적으로 풀어내기 위해 단어들을 흩어지듯 배치하고, 그 사이를 연결하는 유기적인 선을 통해 간접적인 연관성을 표현했습니다. 점과 사각형 등의 기하학적 요소는 단어들의 고립감과 긴장감을 상징하며, 전체적인 레이아웃은 여백을 강조해 ‘비어 있음’과 ‘거리감’을 더욱 부각시켰습니다. 무채색의 절제된 색감과 단단한 구성은 책의 주제를 직관적으로 전달합니다.
2025
책 표지 디자인 / 타이포그래피 실험
그래픽 디자인 / 북디자인
총, 균, 쇠 리딩 포스터 디자인
‘총, 균, 쇠’를 읽고 제작한 타이포그래피 기반의 포스터 디자인입니다. 인류 문명의 발전과 권력 구조를 상징하는 ‘총’이라는 오브제를 아스키 코드로 구현해 디지털적 해석을 시도했으며, 데이터처럼 쏟아지는 정보의 흐름 속에서 인류사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표현하고자 했습니다. 검은 막대와 코드들이 얽혀 형상화된 총은 기술과 힘의 상징을 함축하고 있으며, 타이틀은 절제된 형태로 배치해 정보 과잉 속의 명확한 주제를 드러냈습니다. 전체적으로 차가운 흑백 대비로 냉철한 시각을 강조했습니다.
2025
포스터 디자인 / 타이포그래피 실험
그래픽 디자인 / 독서 리스폰스 작업
Pangram 타이포그래피 포스터 시리즈
‘Pack my bag with five jugs of liquor’라는 팬그램을 소재로 한 타이포그래피 실험 포스터입니다. 색상 제약(레드, 블랙, 화이트)을 두고 각기 다른 폰트 스타일과 배열 방식을 통해 조형적 다양성을 탐구했습니다. 크게 확장된 산세리프 타입, 겹침과 레이어링을 활용한 구성, 그리고 유려한 스크립트 스타일 등으로 타이포그래피의 형태적 변주를 시도했으며, 문장의 반복성과 패턴을 강조해 시각적 리듬감을 만들었습니다. 제한된 색 안에서 최대한의 변화를 이끌어내며, 단순한 텍스트가 가진 무궁무진한 표현 가능성을 실험했습니다.
2025
포스터 디자인 / 타이포그래피 실험
그래픽 디자인 / 색상 제약 실험